2010-12-02

페이스북 화면을 스타일리쉬하게 바꿔 보자


페이스북의 화면을 조금더 스타일리쉬하게 바꾸는 팁을 소개합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페이스북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으로, 내가 사용중인 브라우저에 파이어폭스 애드온을 이용하여 특정 사이트에 나만의 css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내 컴퓨터에서만 그렇게 보이는 거죠. 마치, 윈엠프에 스킨을 입히거나, 메신저 프로그램에 스킨을 입히는 것과 비슷합니다.

2010-10-21

구글 블로거(blogspot)에서 이미지 lightbox 사용하기

구글 블로그인 blogspot에서 이미지를 넣으면 직접 링크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멋진 기능에 익숙한 국내 팬에게는 좀 싱겁죠. 화려함 보다는 기능에 충실한 구글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예인듯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로거에서 정식으로 이를 반영한 기능이 추가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미지 중심의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에게는 선택이 아닌 필수의 기능이니까요.
구글 블로그에 이미지 보기에 적합한 lightbox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jquery,css 등을 새로 짜는 무식한 고생을 포기하고 알려진 소스를 사용하겠습니다.

2010-09-17

워드프레스와 블로거 비교(wordpress vs blogger)

블로거(blogger.com)가 달라지고 있다. 워드프레스의 장점을 많이 흡수하면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고, 이에 질세라 워드프레스(wordpress.com)도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되면서, 두 서비스는 어느정도 비슷한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국내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선택되어 지는 티스토리(tistory.com) 역시 꾸준히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그나마 외국계 서비스로는 블로거와 워드프레스가 어느정도 알려져 있기에 두 서비스형 블로그를 비교해 보려고 한다.

2010-09-15

소셜댓글(2), 내 블로그에 트위터 입력창(tweet box)을 달아보자

아래의 소셜댓글, 내 블로거에서 페이스북 댓글을 남긴다에 이어서 이번에는 트위터 댓글창을 직접 블로거에 달아 보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제3자의 서비스가 아니라 트위터의 개발자 페이지에서 공개한  정식 어플이고, 이미 많이 알려진 TweetButton이나 ShareButton과 다른 점이라면 트윗 입력창이 바로 나온다는 점이고, RT이기 때문에 반응추적이 쉽다는 점입니다.

2010-09-12

소셜댓글, 내 블로거에서 페이스북 댓글을 남긴다


페이스북의 social plugin이 그동안 많이 달라져서 이 방법은 이제 더 이상 추천하지 않습니다.

페이스북 댓글 사용하기(수정판) 또는 블로거에서 페이스북 댓글 사용하기(처음사용자용)을 참고하십시오.

(2012.1.13. 수정)